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닫기
KOR
ENG
사이트맵
닫기
주요메뉴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뉴스레터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알림마당
좌측메뉴
홍보영상
카드뉴스
홍보영상
💧가뭄 해소를 위한 예방책, 이수안전도
작성일
2024-05-08
조회수
59
영상자막
가뭄 해소를 위한 예방책, 이수안전도 홍보 영상 극한 가뭄이 발생했을 때, 필요한 것은? 물 이에 댐, 저수지 등 용수공급 시설을 만들어 가뭄에 미리 대비하고 있는데요. 나아가 이 시설이 물을 잘 공급할 수 있을지 한 번 더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바로 '이수안전도'입니다. 댐의 이수안전도를 평가하는 대표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댐의 안전성 평가 1. 기준 갈수년 갈수년은 오래 비가 내리지 않아 강물 등의 물이 마른 것을 뜻하는데요. 최대 갈수년을 기준으로 택해 가뭄 시 용수 공급량을 충족할 수 있는지 봅니다. 2. 보장공급량 최악의 갈수 기간에 용수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최대(안전) 공급량을 의미합니다. 3. 신뢰도 특정기간에 댐을 모의 운영해 본 뒤 용수부족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평가하는 것이죠. 가뭄해소를 위한 예방책인 이수안전도! 다만 표준화된 기준이 없어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데요. 지난 4월 12일, 제2차 정기세미나에서 국가물관리위원회를 포함한 관계기관과 수자원 전문가들이 모여 관련 내용을 논의했습니다. 앞으로도 국가물관리위원회는 극한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꼼꼼한 물관리를 이어나가겠습니다.
목록
회원가입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사이트맵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뉴스레터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위원회소개
위원회인사말
위원회구성
목적 / 기능
조직
지원단구성
위원회CI
찾아오시는길
위원회활동
위원회활동
위원회회의결과
위원회발간자료
통합물관리협의체
위원회활동연혁
위원회활동연혁
역대위원회명단
법령/정책
법령/정책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자료실
통합물관리마당
통합물관리란
통합물정보
물이용
물환경
물재해
물산업
물기반시설
물정보시스템
물용어 사전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뉴스레터
위원기고
참여마당
참여게시판
국민신문고
공지사항
보도자료
정책소식
홍보자료
뉴스레터
위원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