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통합물관리마당

물재해

홍수・가뭄 등 물 재해 현황

  • 발생 현황 홍수는 1980년~2010년대에 큰 빈도로 발생하였으며, 가뭄은 1950년대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 전국 연도별 가뭄・홍수 발생 현황(여부) >

    1960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국 연도별  가뭄과 홍수 발생 시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주황색 막대는 가뭄 발생 시기를, 파란색 막대는 홍수 발생 시기를 나타내며, 각각의 기간 동안 특정 연도에 걸쳐 발생한 가뭄과 홍수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가뭄은 주로 1967년, 1968년, 1977년, 1978년, 1980년, 1982년, 1988년, 1994년, 1995년, 1997년, 2000년, 2001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2년~2017년에 발생하였고, 홍수는 1959년, 1972년, 1980년, 1984년, 1987년, 1989년, 1991년, 1995년, 1996년, 1998년~2000년, 2002년, 2004년~2007년, 2011년, 2012년, 2020년에 발생하였다.

    그래프 가로 축은 해당 연도에 홍수·가뭄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함

    자료 : 국가가뭄정보센터(www.draught.go.kr) “국내가뭄사례” 및 물과 미래(환경부, 2020)

  • 홍수 집중호우(시간당 30mm 이상 등)는 증가 추세
    • 0.7일(1910년대) → 6.9일(1970년대) → 12.0일(2010년대) 증가 경향

    < 우리나라 호우일수 변화(1912∼2020년) >

    19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우리나라 호우일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세로 막대는 연도별 호우일수를, 파란색 선은 10년 이동평균을 나타내며, 1950년대와 1970년대에 호우일수가 증가한 후 감소하다가 1980년대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1999, 2001년에 4.7일로 가장 많았다.

    자료 : 기상청(2020) 기후정보포털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

  • 가뭄 70년대 이후 5 ~ 7년 주기로 가뭄 발생, 강도 심화 추세

    < 가뭄발생 주기 >

    1970년부터 2020년까지의 가뭄발생 주기의 연 강수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파란색 선은 연 강수량을, 주황색 선은 평균 강수량을 표시하며, 강수량이 적은 특정 시기(1980년, 1986년, 1992년, 1999년, 2006년, 2012년, 2018년)가 빨간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주기적으로 5년, 6년, 6년, 7년, 7년 간격으로 강수량이 적은 시기가 나타나며, 2000년대 이후 이러한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 가뭄일수 >

    1974년부터 2019년까지의 가뭄일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주황색 막대는 연도별 가뭄일수를 나타내며, 1980년대 평균 60.3일, 1990년대 평균 53.4일, 2000년대 평균 54.9일, 2010년대 평균 63.1일로 표시되어 있다. 각 시기별로 가뭄일수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며, 1980년대와 2010년대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뭄일수를 기록하고 있다.

    자료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data.kma.go.kr) 및 2019년 이상기후보고서(관계부처합동,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