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전자정부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알림마당

정책소식

[환경부] 2023년 개인지하수관정 조사 결과에 따라 자연방사성물질 저감시설 지속 지원

  • 작성일

    2024-07-12

  • 조회수

    16

2023년 개인지하수관정 조사 결과에 따라 자연방사성물질 저감시설 지속 지원  

- 2021년, 2022년 조사 결과와 유사, 일정 기준 이상 관정에 대한 저감장치 지원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는 개인 소유의 관정을 대상으로 2023년에 실시한 자연방사성물질(우라늄, 라돈)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우라늄은 바위나 토양 등 환경 전반에 분포하는 광물질이며, 라돈은 공기, 물, 토양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 기체이다.

 

 

  현재 국립환경과학원은 개인 관정으로 지하수를 이용하는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자연방사성물질의 실태를 조사하고 있으며, 적합한 음용 방법을 안내하고 필요할 경우 저감 시설도 지원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2023년 조사 결과는 과거 2개년(2021~2022년) 조사 결과​*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 3,502곳의 개인지하수관정 중 우라늄은 50곳(1.4%)에서 먹는물수질기준(30 ㎍/L)을, 라돈은 783곳(22.4%)에서 수질감시항목의 감시기준(148 Bq/L)을 초과했다.

 

  *  (‘21년, 총 7,036개) 우라늄 148개 (2.1%), 라돈 1,561개(22.2%) 기준 초과

     (’22년, 총 4,415개) 우라늄 64개 (1.4%), 라돈 614개(13.9%) 기준 초과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하수 중 우라늄은 역삼투압방식의 정수장치를 통해 약 97% 이상, 라돈은 폭기장치를 통해 약 86% 이상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라돈이 포함된 지하수는 끓이거나, 이용 전 3일 가량 보관할 경우 라돈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실태조사 결과를 개인관정 소유자에게 통보하면서 기준 초과 관정에 대해서 △직접 음용 자제, △물 끓여마시기, △이용 전 3일 이상 보관 등의 정보를 안내했다. 아울러, 관할 지자체를 통해 일정 기준 이상의 관정에 대해서는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정수기와 라돈 저감 장치도 지원하고 있다.

 

 

  이승환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개인지하수관정에서 취수한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는 주민들 대부분은 상수도시설이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라며, “물공급 취약지역의 주민들이 안심하고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개인지하수관정 자연방사성물질 실태조사 결과(`23년).

 

        2. 음용지하수관정 관리지침  안내.  끝.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해당 보도자료 바로가기